top of page
검색

그 커피, 몇 분짜리인가요? / That 10-Minute Cup?

Vol. 1 (2025. 10. 27)

그 커피, 몇 분짜리인가요? / That 10-Minute Cup?


출근길, 혹은 점심 식사 후. 우리 손에는 너무나 익숙한 아이스 아메리카노 한 잔이 들려 있습니다. 투명한 플라스틱 컵, 손이 시리지 않게 감싸는 종이 홀더, 그리고 ‘딸깍’ 소리를 내며 닫히는 뚜껑까지. 이 차가운 커피 한 잔이 주는 위로는 잠깐이지만 강력합니다. 특히 바쁘고 지친 월요일이라면 더더욱 그렇죠.

우리는 이 컵을 ‘일회용’이라고 부릅니다. 말 그대로 '한 번 쓰고 버린다'는 뜻이죠. 하지만 우리는 정말 이 컵을 '버릴' 수 있을까요?


우리는 분리수거함에 컵을 버리면서 생각합니다. ‘이건 재활용될 거야.’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 믿음은 대부분 현실이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재활용될 거라 믿고 버리는 이 컵들, 특히 서울 같은 대도시에서 나오는 막대한 양의 컵들은 대부분 '재활용'이 아닌 '소각'되거나 '매립'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우리가 카페에서 흔히 쓰는 종이컵은 사실 순수한 종이가 아닙니다. 음료가 새지 않도록 안쪽에 '폴리에틸렌(PE)'이라는 얇은 비닐 막이 코팅되어 있습니다. 이 비닐과 종이를 분리하는 과정은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너무 많은 비용과 에너지가 듭니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셈이죠. 그래서 재활용 공장에서는 이 컵들을 '이물질'로 분류해 일반 쓰레기로 버립니다.


투명한 플라스틱(PET) 컵은 좀 나을까요?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컵 표면에 인쇄된 화려한 로고, 컵에 붙은 스티커 라벨, 그리고 미처 씻어내지 못한 음료의 잔여물. 이 모든 것이 재활용을 방해합니다. 결국 우리가 10분 남짓 사용한 이 컵들은 땅속에서 수백 년을 썩지 않거나, 불에 타면서 온실가스를 내뿜게 됩니다.


한국에서 1년에 소비되는 일회용 컵은 수십억 개에 이릅니다. 환경부의 통계(2022)에 따르면, 커피전문점 등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컵은 연간 84억 개가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 컵들을 한 줄로 세우면 지구를 몇 바퀴나 돌 수 있을까요? 상상조차 어렵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 컵 하나하나를 만들고, 운반하고, 폐기하는 모든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한다는 사실입니다. 우리가 무심코 버린 컵 하나가 우리가 살아갈 여름을 더 뜨겁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는 셈입니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일까요? '텀블러'라는 답은 너무나 뻔하게 들릴지도 모릅니다. "텀블러 하나 만드는 데도 에너지가 많이 든다던데?" 맞습니다. 이런 비판적 생각은 매우 중요합니다. 실제로 여러 연구(예: 덴마크 환경보호청 보고서, 2018)에 따르면, 스테인리스 스틸 텀블러 하나를 만드는 데는 일회용 종이컵 수백 개, 혹은 플라스틱 컵 수십 개를 만드는 것과 맞먹는 에너지와 자원이 필요합니다. 만약 우리가 텀블러를 사서 몇 번 쓰지 않고 서랍 속에 넣어둔다면, 그건 환경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짐만 늘린 셈이죠. 핵심은 '몇 번 쓰느냐'입니다. 우리가 텀블러를 50번, 100번, 그리고 1,000번 사용한다면 어떨까요? 그 텀블러의 '환경 할부금'은 이미 다 갚고도 남습니다. 그때부터는 컵을 사용할 때마다 지구에 빚을 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환경에 '저축'을 하는 셈이 됩니다. 새로운 텀블러를 살 필요도 없습니다. 가장 환경적인 제품은 '이미 가지고 있는 제품'입니다. 집에 잠자고 있는 텀블러, 사은품으로 받았지만 쓰지 않았던 텀블러를 꺼내보세요.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서울 시내 대부분의 카페에서는 텀블러를 사용하면 300원에서 500원 정도의 할인을 제공합니다. 하루에 커피를 두 잔 마신다면, 한 달이면 꽤 쏠쏠한 금액이 모입니다. 환경을 지키는 일이 내 지갑도 지켜주는 일이라면, 마다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요?


물론 텀블러를 매일 챙기는 일은 번거롭습니다. 깜빡 잊고 나오는 날도 분명히 있을 겁니다. 괜찮습니다. 잊어버린 날에는 어쩔 수 없이 일회용 컵을 쓰더라도, 스스로를 자책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 대신, 집에 돌아와 내일 들고 나갈 가방에 미리 텀블러를 씻어 넣어두는 작은 실천이면 충분합니다.


우리의 목표는 '완벽한 환경 운동가'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저 우리가 마시는 이 커피 한 잔이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그 짧은 여정에 대해 한 번쯤 생각해보는 것입니다.


우리의 여름은 아직 남아있습니다. 그 여름의 온도를 1도라도 낮추는 일은, 어쩌면 오늘 저녁 가방 속에 텀블러 하나를 미리 챙겨 넣는 그 작은 습관에서 시작될지도 모릅니다.


다음 주에는 우리가 매일 입는 '옷'에 숨겨진 기후 이야기에 대해 나눠볼게요.


SOURCES

  • 환경부 (2022). 「1회용품 사용 줄이기 로드맵」 보도자료. (연간 1회용 컵 소비량 추산치 인용)

  • The Danish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8). Life Cycle Assessment of grocery carrier bags. (다회용기 사용 횟수에 따른 환경 영향 비교 논리 준용)

  • 한국소비자원 (2021). 「커피전문점 1회용 컵 사용 실태조사」. (텀블러 할인 혜택 및 소비자 인식 관련)



Written by Kathleen AI-assisted draft.

Final edit and direction by Kathleen. 

Published by HOW MANY SUMMERS




Vol. 1 (2025. 10. 27)

That 10-Minute Cup?


It’s the morning commute, or maybe the post-lunch rush. In our hand is a familiar sight: an iced coffee. The clear plastic cup, the paper sleeve to shield our hand from the cold, the lid that closes with a distinct snap. The comfort this cold drink provides is brief but powerful, especially on a hectic Monday.

We call this cup "disposable." Single-use. But can we really just "throw it away?" As we toss it into the recycling bin, we tell ourselves, "This will be recycled." Unfortunately, that belief is mostly wishful thinking. The vast majority of these cups, especially the billions generated in cities, don’t end up recycled. They are incinerated or sent to a landfill.


The reason is simple. The paper cups we get from cafes aren't just paper. They are lined with a thin film of polyethylene (PE) to keep them from leaking. While it's technically possible to separate this plastic lining from the paper, the process is incredibly expensive and energy-intensive. The cost simply outweighs the benefit. As a result, recycling facilities classify these cups as "contaminants" and send them straight to the regular trash.


What about the clear plastic (PET) cups? They aren't much better. The colorful printed logos, the adhesive labels, and the leftover milk foam all contaminate the recycling stream. In the end, the cup we used for perhaps ten minutes will either sit in a landfill for hundreds of years, refusing to decompose, or be burned, releasing greenhouse gases into the atmosphere.


In the United States alone, we throw away billions of these cups every year, some estimates are as high as 50 billion. Lined up end-to-end, they could circle the globe many times over. The crucial point is that carbon is emitted at every single stage of this cup's life: manufacturing, shipping, and disposal. The cup we tossed without a second thought is, little by little, contributing to making our future summers hotter.


So, what’s the alternative? The "reusable tumbler" might sound like an obvious, even cliché, answer. You might be thinking, "But doesn't it take a lot of energy to make a tumbler, too?" You are absolutely right, and that's a critical point. Studies (like a well-known 2018 report from the Danish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onfirm that manufacturing one stainless steel tumbler requires the same energy and resources as making hundreds of paper cups or dozens of plastic ones. If you buy a new tumbler, use it only a few times, and then banish it to the back of your cabinet, you haven't helped the environment at all. You've just created a different, bulkier piece of waste.


The key is the break-even point. It's all about how many times you use it.

Once you've used that tumbler 50, 100, or 1,000 times, you've long since paid off its "environmental mortgage." From that point on, every use isn't creating a debt; it's making a deposit. You are actively saving resources. You don't even need to buy a new one. The most sustainable product is the one you already own. Dig out that tumbler you got as a freebie at an event or the one collecting dust in your kitchen. That is more than enough.


Most coffee shops, from large chains to local cafes, will even give you a small discount, usually 10 to 50 cents for bringing your own cup. If you grab coffee twice a day, that adds up. Saving the planet while also saving a little money? It’s a hard offer to refuse. Of course, remembering to bring it every day is a hassle. There will be days you forget. That's okay. There’s no need to beat yourself up over it. The goal isn't perfection. Instead, when you get home, just wash the cup and stick it right in your bag or set it by your keys for the next day. That simple habit is enough.


Our goal isn't to become "perfect environmentalists." It's simply to pause for a moment and think about the brief, invisible journey of this one cup of coffee, where it came from, and where it's really going after we're done with it.


We still have summers left. And the work of lowering their temperature, even by a single degree, might just begin with that small, quiet act of packing a cup for tomorrow.


Next week, we'll explore the climate story hidden in the clothes we wear.



SOURCES

(Note: Sources adapted for an international/US audience.)

  •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2023). Advancing Sustainable Materials Management: Facts and Figures. (Data on non-recycled plastics and containers.)

  • The Danish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8). Life Cycle Assessment of grocery carrier bags. (Provides the logic for break-even analysis of reusable vs. single-use items, applied here to cups.)

  • Starbucks Corporation. (2024). Reusable Cup Program. (Example of corporate "Bring Your Own Cup" incentives.)


Written by Kathleen AI-assisted draft.

Final edit and direction by Kathleen.

Published by HOW MANY SUMMERS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냉장고를 구하는 3가지 과학적 방법 / Three Scientific Ways to Save Your Groceries

Vol. 3 (2025. 11. 10) 냉장고를 구하는 3가지 과학적 방법 / Three Scientific Ways to Save Your Groceries 우리는 냉장고에서 시들어버린 채소를 발견할 때마다, '다 먹지 못할 걸 왜 샀을까' 하고 가벼운 죄책감을 느낍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개인의 의지 부족 때문만은 아닙니다. 2024년 3월에 발표된 유

 
 
 
그 스웨터, 지금 '플라스틱'을 입고 있나요? / Are You Wearing Plastic?

Vol. 2 (2025. 11. 03) 그 스웨터, 지금 '플라스틱'을 입고 있나요? / Are You Wearing Plastic? 쌀쌀해진 바람에 포근한 니트나 따뜻한 플리스(fleece) 점퍼를 꺼내 입는 계절입니다. 새 옷이 주는 특유의 부드러운 감촉은 기분을 좋게 만듭니다. 하지만 우리가 입는 이 옷의 라벨을 자세히 들여다본 적이 있나요? 아마도

 
 
 

댓글


CUSTOMER CENTER (MON-FRI 10:00 - 17:00)

howmanysummers.info@gmail.com

COMPANY INFO 

Business Name: HOW MANY SUMMERS Founder: Kathleen Jang

Business Registration No.: 264-21-02102 E-commerce Business License No.: 2025-고양덕양구-1382호 Address: #1106, Starhub Plus, Goyang-si, Gyeonggi-do, South Korea

E-mail: howmanysummers.info@gmail.com 

Copyright © 2025 HOW MANY SUMMERS.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